top of page

emoters-project Group

Public·180 members

[[[라이브 시청<<][]] 하노이 대 포항 보기 20 9월 2023


2023. 1. 9. — 한편 9일 출국한 포항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1월 28일까지 훈련 후 귀국해 ... 포항스틸러스, 제8대 이종하 단장 취임 · 포항스틸러스, 2023년도 선수단 ...


[사진]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공격의 핵심' 고영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차출로 함께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김기동 감독은 "고영준은 좋은 선수고, 기술적이다. 팀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포항은 고영준이 빠졌다고 흔들리는 팀이 아니다. 고영준 없이 치른 경기가 많았다. 다른 선수들이 그 자리를 잘 메꾸어주면서 현재 위치까지 왔다. 아쉬움은 있지만 다른 선수들이 그 자리에서 활약을 했으면 하는 기대가 있다"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지금껏 ACL에서 K리그 팀이 베트남 팀에 졌던 적은 없다. 포항에는 압박 아닌 압박이 될 수도 있는 기록. 하지만 김기동 감독은 "그런 부분은 전혀 생각해 보지도 않았다. 경기를 이기겠다는 마음으로만 준비했다. 원정이라 힘든 경기가 되겠지만, 우리가 준비만 잘 한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사진] 포항 스틸러스 제공. 주장 김승대 역시 "감독님과 처음으로 함께하는 ACL이다. 첫 경기가 홈이길 바랐지만, 원정이라 좀 힘들 거라 예상한다. [14] 최진철은 시즌을 앞두고 가진 취임 기자회견에서 K리그 클래식 3위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포항은 김승대, 고무열, 신진호, 조찬호, 김태수 등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한 가운데 양동현과 조수철만을 영입한 채 시즌에 시작을 맞이하였다. 시즌 첫 경기인 2월 9일 하노이 T&T와의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심동운이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맹활약 속에 3-0으로 승리하여 AFC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3월 12일 포항 스틸야드에서 열린 K리그 클래식 개막전에서 광주를 상대로 6골을 주고받는 난타전 끝에 3-3으로 비겼으며 이어진 열린 인천 원정 경기에서는 2-0으로 리그 첫 승을 신고하였다. 하지만 신화용, 황지수, 손준호 등 주축 선수들의 부상 등으로 인한 팀의 부진으로 리그에서는 6라운드가 종료된 후 리그 10위까지 처졌으며, 2016 ACL에선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그 후 쓰리백으로 전환하고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외국인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음에도 성적은 곤두박질쳤고, 9월 21일 인천와의 홈경기에서 패하며 4연패를 기록하였고, 하위 스플릿 추락이 확정되었다. 'ACL 하노이 원정' 김기동 감독"홈에 돌아온 것 같다... 선견지명이 있었나? "[사진] 포항 스틸러스 제공. [OSEN=고성환 기자] "원정 갔다가 홈에 돌아온 기분이었다. 선견지명이 있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 포항 스틸러스 김기동 감독이 베트남 원정에서도 홈 경기 같은 기분을 느끼고 있다. 포항은 20일 오후 9시(한국시간) 베트남 하노이 항더이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2023-2024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조별리그 J조 1차전에서 하노이FC와 맞대결을 펼친다. 경기를 하루 앞두고 공식 기자회견이 열렸다. 마이크를 잡은 김기동 감독은 "ACL은 모든 팀이 참가하고 싶은 대회"라며 "한국 대표로 나오게 됐는데 첫 단추를 잘 끼워서 올해도 좋은 성적을 내도록 준비하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2년 전 ACL 준우승→K리그 9위, 포항 '빈약한 스쿼드'로 '추 4시간 전 — 포항은 120분 혈투 끝에 1대1,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겼다. 2009년 이후 12 포항은 오는 20일 베트남 미딩 국립경기장에서 하노이와 2023~2024시즌 ... 2000년부터 2007년까지는 브라질의 지코축구학교 및 알리키 축구 클럽과 연계하여 40여 명의 유소년 선수들에게 선진 축구의 경험을 제공하는 해외 유학을 보내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이전까지 포스코 교육재단 산하 학교에 소속되어 있던 포항제철동초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축구부를 포항 스틸러스 클럽 소속으로 전환하고 연고지명학교로 지정하여 장기적인 우수선수 자체 육성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였다. 한편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가 마이스터 고등학교로 지정됨에 따라, 2013년부터는 포항제철고등학교로 U-18 축구부를 이관 창단하였다. 또한 2017년 U-12 팀이 창설되어 있던 포항제철동초등학교가 포항제철서초등학교와 통합되며 교명을 포항제철초등학교로 변경하였다. U-18 (포항제철고등학교)[편집] GK코치 트레이너 임경훈 홍종기 심종권 주요 우승 기록 2005년 춘계 한국고교 축구연맹전 우승 2010년 백록기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 2011년 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우승 2012년 아디다스 올인 챌린지리그 우승 2013년 아디다스 올인 챌린지리그 우승 / 전국고등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2014년 문화체육부장관기 전국고교 축구대회 우승 /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 / 전국체전 남자 고등부 우승 2015년 K리그 주니어 B조 우승(전기 2위, 후기 1위, 통합 우승) / 전국고등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2016년 제24회 한중일 주니어 종합경기대회 우승 2017년 K리그 U-18 챔피언십 우승 2018년 전국고등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주요 배출 선수 (괄호 안은 졸업 연도) 백기홍(1990), 이진행(1990), 노태경(1991), 김대환(1994), 이창원(1994), 이동국(1998), 마철준(1999), 신화용(2002), 윤원일(2002), 박원재(2003), 오범석(2003), 황진성(2003), 이원재(2005), 신광훈(2006), 안재훈(2006), 김대호(2007), 신진호(2007), 고무열(2009), 배천석(2009), 이명주(2009), 김승대(2010), 김준수(2010), 손준호(2011), 문창진(2012), 이광훈(2012), 이준희(2012), 임민혁(2013), 정원진(2013), 강현무(2014), 이광혁(2014), 이상기(2015), 황희찬(2015), 김로만(2016), 우찬양(2016), 이진현(2016), 이승모(2017) U-15 (포항제철중학교)[편집] 김승민, 이광훈 한민규 2004년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중학교축구대회 우승 2005년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 / 무학기 전국축구대회 우승 2007년 추계중학교축구연맹전 충무그룹 우승, 왕중왕전 우승 2008년 추계중학교축구연맹전 화랑그룹 우승, 왕중왕전 준우승 / 대구광역시장기 전국중학교축구대회 우승 2010년 탐라기 전국중학교축구대회 우승 2011년 맨유프리미어컵 제47회 춘계중등연맹전 봉황그룹 우승, 왕중왕전 3위 / 전국중등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2012년 맨유프리미어컵 제48회 춘계중등연맹전 화랑그룹 우승, 왕중왕전 우승 /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 2013년 맨유프리미어컵 제49회 춘계중등연맹전 백호그룹 우승 / 전국중등축구리그 경북A권역 우승 2014년 제50회 추계중등연맹전 청룡그룹 우승 / 전국중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 C33 International Tournament 우승 2015년 제51회 추계중등연맹전 저학년부 청룡그룹 우승 / 전국중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2016년 금석배 전국중학생 축구대회 우승 / 전국중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2017년 전국중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2018년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 최은성(1987), 이진행(1987), 노태경(1988), 김대환(1991), 이창원(1991), 이동국(1995), 마철준(1996), 박진옥(1998), 신화용(1999), 박원재(2000), 이원재(2002), 신광훈(2003), 안재훈(2003), 여성해(2003), 이명주(2006), 배천석(2006), 김성주(2006), 김승대(2007), 김준수(2007), 손준호(2008), 문창진(2009), 이광훈(2009), 이광혁(2011), 장결희(2011, 중퇴), 이상기(2012), 황희찬(2012), 김로만(2013), 우찬양(2013), 이진현(2013), 이승모(2014) U-12 (포항제철초등학교)[편집] 이수환 권해성, 전건우 2005년 대전MBC배 전국초등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 대교눈높이 전국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2006년 칠십리배 춘계초등연맹전 저학년부 우승 2007년 추계유소년축구연맹전 고학년부 우승 / 화랑대기 전국초등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2008년 추계유소년축구연맹전 저학년부 우승 / 화랑대기 전국초등축구대회 저학년부, 고학년부 우승 2010년 추계전국유소년축구대회 저학년부 우승 /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4학년부 우승 / 칠십리배 춘계유소년연맹전 저학년부 우승000000전국초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2011년 전국초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 2012년 전국초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 칠십리배 춘계유소년연맹전 저학년부, 고학년부 우승 / 다논 네이션스컵 우승 2013년 전국초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 금석배 전국초등학교축구대회 저학년부 우승 /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2014년 전국초등축구리그 경북권역 우승 / 전국초등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 금석배 전국초등학교축구대회 고학년부 우승 /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C그룹 우승000000카타르 아스파이얼 국제대회 우승 / 슈퍼모크컵 우승 2015년 금석배 전국초등학교축구대회 우승 /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A그룹 우승 2016년 화랑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 우승 이창원(1991), 이동국(1992), 마철준(1993), 신화용(1996), 박원재(1997), 이원재(1999), 여성해(2000), 배천석(2003), 김성주(2003), 김승대(2004), 이진현(2010) 스틸러스 웨이[편집] 스틸러스 웨이(Steelers Way)란 2009년 2월 새로 취임한 김태만 사장이 추진한 경기 개혁 방안이다. 베트남골목식당 포항이동점 피드형식으로 보기 리스트형식으로 보기. 프로필. 빈츠. Do whatever you want 사진첩을 뒤져보다 갑자기 생각난 베트남 나도 베트남 여행기는 19년도에 다녀온 하노이 ... 결국 세르지우 파리아스 감독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의 감독으로 부임했고 포항은 2010년 1월, 브라질 국적의 와우데마르 레모스 감독을 선임하였다. 2010년 2월, 프리시즌 기간에 홍콩에서 열린 구정컵 국제축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0 K리그 첫 경기인 대구 FC와의 경기에서 승리하였으나 이후 월드컵 휴식기까지 11경기 2승 3무 6패의 부진한 성적을 거두자 성적 부진을 이유로 레모스 감독을 경질하고 박창현 수석코치 체제로 전환하였다. 레모스 감독 해임 이후 알아흘리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내고 있는 세르지우 파리아스 감독의 방한과 맞물려 세르지우 파리아스 감독 재영입설이 불거지기도 하였으나 포항 구단이 박창현 수석코치에게 시즌이 끝날 때까지 감독 대행 역할을 맡길 것이라고 선언하여 논란은 일단락되었다. [8] 황선홍의 '스틸타카' (2011~2015)[편집] 2010 시즌 리그 경기가 끝난 2010년 11월 8일, 포항 스틸러스의 프랜차이즈 레전드이자 부산 아이파크 감독으로 재직 중이던 황선홍이 부산 아이파크와 계약이 만료되자마자 포항 스틸러스의 새로운 사령탑으로 부임하였다. [9] 아사모아와 슈바 외에는 특별한 보강 없이 임한 2011 시즌이었지만 시즌 초반 2위 자리를 점한 후 정규 리그가 끝날 때까지 2위를 수성하여 플레이오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였다. 또 K리그 우승 팀 자격으로 2008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티켓까지 얻었다. 포항은 FA컵 결승전에도 진출해 있었다. 구단 역사상 최초로 더블을 달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FA컵 결승 상대는 전남 드래곤즈였다. 결승 1차전이 전남의 홈에서 열리고, 2차전이 포항의 홈에서 열리게 되자 포항은 우승 축가를 홈에서 부를 수 있다는 생각에 들떠 있었지만 1차전에서 2-3으로 분패했고, 2차전마저 1-3으로 패하며 더블에 실패했다. 2008년, 2007 K리그 우승 팀 자격으로 2008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였으나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중국의 창춘 야타이 등에 밀리며 조별 예선에서 1승밖에 거두지 못하고 탈락하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벌어진 리그컵에선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그 해 첫 우승 도전에 실패했고 K리그 2008에서는 울산 원정에서 역시 승부차기 끝에 패해 K리그 2연패가 좌절됐다. 구간별 적립 마일리지 | 대한항공 김포–포항, 188. 인천–대구, 159. 제주–부산(김해), 186. 제주–청주, 227. 제주–대구, 203 대한항공 정보. 대한항공-트립어드바이저-선정-세계-10대-항공사-3 새창 열기 ... 카카오맵새로운 장소 새로운 수정된 장소를 알고 계세요? 장소 제안은 지도 품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신규 장소 등록 검색 결과가 없어요. 검색어의 철자가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장소를 찾을 때 전화번호, 주소도 활용해 보세요. Daum 검색 결과 보기 찾으시는 주소가 없어 유사한 주소를 제공합니다. 주소 더보기 '해당위치'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체 음식 여행 기타 '주변 '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도를 축소하여 다시 테마 지도를 이용해 주세요. 길찾기 검색 오늘은어디로 안내할까요? 매일매일 업데이트되는 최신정보로가장 빠른 경로를 알려드려요. 지하철 검색 호선도 중요하지만, 시간이 더 중요하니까언제 출발해야 하는지부터몇분에 도착할지까지, 한 눈에 확인하세요. MY 후기 후기가 없습니다. 적용한 필터에 해당하는 후기가 없습니다. 필터 조건을 변경해 주세요. 포항스틸러스: WE ARE STEELERS ALL RIGHT RESERVED. MATCH 하노이 vs 포항09.20(수) 19:00 @하노이 미딘 스타디움 더보기 제카-완델손 페널티킥 골 앞세운 포항, 2대0으로 인천 제압 · 김기동 감독도 ... 순번 취임일자 사임일자 재임시즌 비고 1대 한홍기 1973/05/02 1984/11/29 1983-1984 구단 초대 감독 (프로축구단으로 전환되면서 감독직 승계) 2대 최은택 1986/12/16 1985-1986 1986 구단 최초 K리그 우승 감독 3대 이회택 1992/12/31 구단 역대 최장수 감독 (6시즌) 구단 최초 포항 스틸러스 선수 출신 감독 1988, 1992 구단 2번째 K리그 우승 (2회) 감독 대행 김순기 김철수 1989/04/29 1989/?? /?? 구단 최초 감독대행 (이회택 감독의 축구대표팀 감독 차출) 조윤옥 1989/09/?? 1990/07/20 1989-1990 구단 2번째 감독대행 (이회택 감독의 축구대표팀 감독 차출) 4대 허정무 1993/01/01 1995/11/25 1993-1995 구단 최초 리그컵 우승 감독 김순기 1994/?? /?? 1994/07/?? 구단 3번째 감독대행 (허정무 감독의 축구대표팀 코치 차출) 5대 박성화 1995/12/12 2000/07/31 1996-2000 구단 역대 2번째 최장수 감독 (5시즌) 구단 2번째 포항 스틸러스 선수 출신 감독 1996 구단 최초 FA컵 우승 감독 1996-97, 1997-98 구단 최초 챔피언스리그 우승 (2회) 감독 구단 최초 시즌 도중 사퇴한 감독 최순호 2000/08/01 2000/12/31 구단 4번째 감독대행 2000시즌 감독대행 수행 후 2001시즌부터 정식 감독으로 승격 구단 3번째 포항 스틸러스 선수 출신 감독 6대 2001/01/01 2004/12/05 7대 세르지우 파리아스 2005/01/06 2009/12/20 2005-2009 구단 최초 외국인 감독 2007 구단 3번째 K리그 우승 감독 2008 구단 2번째 FA컵 우승 감독 2009 구단 2번째 챔피언스리그 우승 감독 구단 2번째 리그컵 우승 감독 구단 최초 더블 우승 달성 (챔피언스리그와 리그컵) 8대 와우데마르 레모스 2010/01/08 2010/05/10 구단 2번째 외국인 감독 구단 2번째 시즌 도중 사퇴한 감독 박창현 2010/05/11 2010/11/07 구단 5번째 감독대행 9대 2010/12/13 2015/11/29 구단 4번째 포항 스틸러스 선수 출신 감독 2012, 2013 구단 3번째 FA컵 우승 (2회) 감독 2013 구단 4번째 K리그 우승 감독 구단 2번째 더블 우승 달성 (K리그와 FA컵) 10대 최진철 2015/12/28 2016/09/24 구단 3번째 시즌 도중 사퇴한 감독 11대 2016/09/26 2019/04/22 2016-2019 구단 4번째 시즌 도중 사퇴한 감독 12대 2019/04/23 유소년 시스템[편집] 포항 스틸러스는 1984년 포항제철중학교에 축구팀을 창단한 이후, 1985년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1988년 포항제철동초등학교에 축구팀을 창단하여 국내 최초로 전 연령별 축구팀을 보유하고 유소년 육성에 힘쓰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인연이 없었던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무패로 조별예선을 통과하였고, 16강전에서도 전북에 2승을 거두고 8강에 진출하였다. 특히 전반기에는 이명주와 김승대의 호흡이 돋보였는데, 이명주는 K리그 10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5골 9도움) 신기록을 세우는 독보적인 활약을 펼쳤고, 김승대는 리그와 ACL을 합해 17경기에서 12골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이명주의 이적 이후 시작된 후반기에는 불안한 모습이 이어졌다. 제주에서 임대해 온 강수일이 후반기에 크게 활약한 것이 그나마 긍정적이었다. FA컵과 ACL 모두 FC 서울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탈락하였으며, 아시안게임에 김승대와 손준호가 차출되며 팀 운영이 더욱 쉽지 않아졌다. 결국 9월 말부터 12경기에서 단 1승을 거두었고, 끝내 리그를 4위로 마감하며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도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다만 김승대가 K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함으로써 3년 연속 영플레이어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축구, 베트남: 하노이 FC 실시간 스코어, 결과, 일정 더 많은 경기 보기. 예정된. 아시아AFC 챔피언스리그. 하노이 FC (Vie). 포항 (Kor). 20.09. 05:00. 우라와 (Jpn). 하노이 FC (Vie). 04.10. 03:00. 우한 산전 (Chn). 시즌 초반에는 하위권 성적으로 위기를 맞았으나, 후반기에는 뒷심을 발휘하여 3년 만에 상위 스플릿에 진출하여 리그 4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2019시즌 시작 후 팀은 부진에 빠지며 다시 하위권으로 내려왔다. 김기동 감독 시대 (2019~)[편집] 2019년 4월, 김기동 감독이 부임했다. [19] 김기동은 2019시즌 하위권으로 내려앉은 포항을 잘 추스려 팀을 상위스플릿으로 올리는데 성공시켰다. 2020시즌에는 새로 영입된 일류첸코, 팔로세비치의 활약에 상위권으로 치고 나왔으며 3위를 기록해 차기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성공했다. 이와 같은 공로로 김기동 감독은 2020시즌 K리그 감독상을 수상했다. 2021시즌을 앞두고 일류첸코, 팔로세비치, 김광석과 같은 팀 내 주축 선수들을 떠나보냈다. 그럼에도 새로 영입된 임상협, 신진호 등이 좋은 활약을 보여주어 중위권을 유지하였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팀 내 에이스인 송민규를 전북에 넘기며 논란이 있었지만[20] 새로 영입한 박승욱 등이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정규 리그 종료 후 파이널 B로 떨어졌지만 강등권과의 승점을 벌리는데 성공하면서 조기에 K리그1 잔류를 확정시켰다. 새소식 | 포항공과대학교 - Part 205 더 보기 "[동정]백성기 총장 하얼빈공대 개교기념 국제총장 포럼서 기조강연 하노이에 해외사무소를 개설하고, 베트남 주요대학들과의 학술교류협정 체결과 학술 ... 9월 24일, 최진철 감독은 광주전을 마지막으로 부진한 성적에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한다고 밝혔으며 10개월 만에 포항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15] 그 후 9월 26일, 포항 제6대 감독을 역임한 최순호가 12년 만에 포항 감독으로 취임하였고, 리우 올림픽 국가대표팀 코치를 지낸 김기동이 친정팀의 수석 코치로 합류하였다. [16] 과거 최순호 감독의 부진했던 성적 때문에 다수의 포항팬들이 반발하는 가운데[17] 최순호 감독은 본인에 대한 팬들의 우려를 불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18] 최순호 감독은 부임 첫 경기인 성남 FC전에서 4-1 대승을 거두며 분위기 반전을 꾀하였지만 기쁨은 오래 가지 못했다. 이어진 하위 스플릿 4경기에서 2무 2패를 기록하며 강등 위기가 눈앞에 오는 듯하였으나, 시즌 마지막 경기인 성남전에서 양동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최종 9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포항의 계속되는 위기 그리고 기회와 3년 만에 상위 스플릿 진출 (2017~2019)[편집] 2016 시즌 후, 포항은 모기업인 포스코가 예산 줄이기에 나선 탓에 문창진, 박선주, 김원일, 김준수, 신광훈, 라자르 등 포항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선수들이 차례로 이적하였으나, 이에 비해 영입은 이승희, 서보민, 권완규, 조민우, 김동기 등 그 수가 많지 않은 이적시장을 보냈다. ※ '경력'은 임대 기간을 제외한, 선수들이 실제 포항 스틸러스에서 뛰었던 연도만을 표기한다. ※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포항 스틸러스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이다. 최다 출전 선수[편집] 순위 선수 경기수 경력 김광석 385 2003-2004, 2007-2020 황지수 320 2004-2009, 2012-2017 신화용 287 2004-2016 4 황진성 279 2003-2013 공문배 268 1989-1998 박태하 261 1991-1993, 1996-2001 이영상 236 1990-1999 230 2006-2008, 2010-2014, 2016, 2021- 227 1991-1992, 2003-2011 유동관 207 1986-1995 고병운 193 1996-1998, 2001-2003 이흥실 182 1985-1992 181 2013-2015, 2017-2019, 2022- 김병지 164 2001-2005 15 윤성효 162 1987-1993 강현무 161 2014-2022 김원일 2010-2016 강상우 160 2014-2018, 2020-2022 최문식 최상국 159 1983-1991 2022년 12월 31일 기준 최다 득점 선수[편집] 득점 라데 147 1992-1996 48 이동국 47 123 1998-2002, 2005-2006 46 이기근 156 1987-1992 40 코난 38 141 2001-2004 조긍연 143 1985-1991 고무열 35 158 2011-2015 1989-1995, 1998 양동현 68 2016-2017 황선홍 31 63 1993-1998 노병준 149 2008-2010, 2011-2013 일류첸코 2019-2020 이원철 1990-1996 우성용 25 67 2003-2004 모따 23 59 2010-2011 조찬호 2009-2015 최다 도움 선수[편집] 도움 58 따바레즈 113 2004-2007 신진호 134 2011-2013, 2015, 2021-2022 손준호 99 2014-2017 이명주 80 2012-2014 김상호 1987-1994 김재성 138 2008-2011, 2013-2014 시즌 결과[편집] 시즌 K리그 챔피언스리그 클럽월드컵 디비전 대회 1983 1부 - 1984 1985 전국선수권 1986 프로선수권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아디다스컵 1993 1994 1995 1996 1997 클럽챔피언십 아프로아시안 프로스펙스컵 슈퍼컵 1998 필립모리스컵 1999 16강 8강 대한화재컵 A조 2000 2001 2002 2003 2004 32강 삼성하우젠컵 2005 2006 2007 2008 E조 2009 피스컵 2010 포스코컵 C조 2011 러시앤캐시컵 2012 2013 G조 2014 2015 2016 H조 2017 2018 2019 2020 준결승 2021 2022 2023 챔피언스리그(2023-24) 클럽 역대 인물[편집] 역대 선수[편집] 역대 감독[편집] 취임일자는 공식 취임식 일자이며 취임식이 없거나 미상인 경우 공식 선임일자를 기재한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순항은 계속되어 나고야 그램퍼스, 울산 현대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하지만 결승에서 알힐랄 SFC에 패배하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선수[편집] 1군 선수[편집]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 GK 윤평국 2 DF 심상민 3 김용환 5 그랜트 6 MF 김종우 7 FW 김인성 8 오베르당 9 제카 10 백성동 11 고영준 12 김승대 13 신원철 14 박승욱 16 한찬희 17 신광훈 18 강현제 19 윤민호 20 박찬용 21 황인재 22 박건우 26 조재훈 27 정재희 28 김정현 29 박형우 30 윤제운 32 이승환 33 이호재 34 이규백 37 홍윤상 41 조성훈 44 송한록 45 하창래 55 최현웅 66 김준호 77 완델손 88 김규표 임대 및 군 복무 중인 선수[편집] — 노지훈 (진주 시민축구단으로 임대) 강현무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전민광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로 임대) 양태렬 (전주 시민축구단으로 임대) 이현일 (진주시민축구단으로 임대) 윤석주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김륜성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허용준 (베갈타 센다이로 임대) U-18 선수[편집] U-15 선수[편집] U-12 선수[편집] 스태프[편집] 코칭스태프[편집] 직위 수석코치 김대건 코치 이광재, 이규용 골키퍼 코치 박호진 피지컬 코치 손동민, 혼돈 전력분석관 박철호 선수 트레이너 변종근 강동훈 이종규 프로스카우터 황재원 통역 기지용 메디컬스태프[편집] 지원스태프[편집] 기록과 통계[편집] 우승 기록[편집] 국내 대회[편집] 리그[편집] ● 우승 (5): 1986, 1988, 1992, 2007, 2013 ● 준우승 (4): 1985, 1987, 1995, 2004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우승 (5): 1975춘계, 1981추계, 1982, 1986추계 ● 준우승 (2): 1977, 1989춘계 컵[편집] FA컵 ● 우승 (4): 1996, 2008, 2012, 2013 ● 준우승 (3): 2001, 2002, 2007 리그컵 ● 우승 (2): 1993, 2009 ● 준우승 (2): 1996, 1997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준우승 (2): 1977, 1985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 우승 (1): 1974 ● 준우승 (1): 1989 국제 대회[편집] 아시아 대회[편집] AFC 챔피언스리그 ● 우승 (1): 2009 ● 준우승 (1): 202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우승 (2): 1996-97, 1997-98 아시안 슈퍼컵 ● 준우승 (2): 1997, 1998 세계 대회[편집]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친선 대회[편집] A3 챔피언스컵 ● 준우승 (1): 2005 구정컵 ● 우승 (1): 2010 킹스컵 ● 준우승 (1): 1987 주요 개인 기록 순위[편집]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정규리그와 리그컵에서 선수들이 기록한 통산 기록 순위이다. 하노이 대 포항 스틸러스 FC 상대통계 더 보기. 코너 / 경기. * 하노이 와 포항 스틸러스 FC 의 현재 시즌 경기당 평균 코너킥. 하노이. 코너 ... 11월 7일, 일본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이티하드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로써 포항 스틸러스는 전신인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2년 연속 우승(1997년, 1998년)까지 포함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역대 최다로 아시아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아시아 챔피언의 자격으로 참가한 2009년 FIFA 클럽 월드컵 6강전에서 데닐손의 2골에 힘입어 아프리카 챔피언 TP 마젬베를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였으나 남아메리카 챔피언이자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이 있는 에스투디안테스에 1-2로 패배하며 결승 진출은 아쉽게 실패하였다. 그리고, 김광석, 황지수, 배슬기 등 일부 주축 선수들과는 재계약에 성공하였지만, 13년간 포항의 원클럽맨으로 활약했던 신화용이 에이전트와 연봉 문제에 있어 구단과 이견을 보이며 결국 수원으로 이적함에 따라 팬들의 분노가 이어졌다. 신화용의 빈자리는 수원에서 임대되어 온 노동건과 유스 출신의 골키퍼 강현무가 번갈아 나섰으며, 특히 강현무는 스틸야드에서의 데뷔전을 무실점으로 마친 데 이어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강상우, 권완규가 주전 풀백으로 나서 활발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양동현, 룰리냐, 심동운 등은 많은 골을 기록하며 공격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손준호는 14도움을 기록하며 도움왕에 올라, 포항에서는 10년 만에 도움왕을 배출하게 되었다. 다만 7월, 주전 중앙수비수 김광석이 부상으로 시즌아웃되면서 실점이 급격히 많아졌고, 끝내 한 경기 차이로 A 스플릿에 오르지 못하는 등 수비 면에서는 불안한 시즌이었다. 2018 시즌을 앞두고 양동현은 세레소 오사카로 손준호가 전북으로 이적했지만, 레우 가말류, 알레망, 코너 채프먼, 송승민, 국태정, 류원우, 이후권, 서보민 등을 영입하여 시즌에 돌입하였다. 포항 해변 베스트 8 - 포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변 더 보기. 1. 구룡포해수욕장. 누구나 힐링할 수 있는 백사장이 있는 ... 포항대, 중단됐던 '한국어 연수과정' 시작 2023. 4. 19. — 특히 국제교육개발원(원장 강명수)이 개설한 '한국어 연수 과정'에 입학한 29명을 대표해서 쩐반르엉(베트남 하노이)가 입학선서를 하며 배움의 열정을 ... 포항사과, 베트남 하노이 마트 특판행사 성황 2019. 12. 11. —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에퀴노르, 국내 4대 대기업과 해상풍력 사업 협력 · 2. 7월 울산 부동산 ...


  • About

    Welcome to the group! You can connect with other members, ge...

    bottom of page